한국항공대학교 |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| 1952 | 항공기, 무인기, 우주 추진 발사체, 인공위성 및 유도무기 등에 관련된 역학 및 설계, 제작, 시험방법 등에 대한 교육 |
연세대학교 | 천문우주학과 | 1967 | 은하 형성과 진화, 항성과 항성 종족의 진화, 천문광학, 인공위성 과학 등 우주 시대에 걸맞은 최첨단 과학 교육 |
인하대학교 | 항공우주공학과 | 1972 | 항공기, 헬리콥터 등의 대기권 비행체와 인공위성, 발사체와 같은 우주 비행체의 설계/해석/제작/시험평가/운용을 위한 기반 학문 및 최신 공학 기술 교육 |
한국과학기술원 | 항공우주공학과 | 1979 | 항공기, 무인기 및 드론, 인공위성, 우주발사체 위성항법 등 비행과 우주탐사 기술과 시스템에 대한 교육 |
조선대학교 | 항공우주공학과 | 1985 | 항공우주 분야의 항공기, 인공위성, 발사체의 기반 설계 능력과 제반 기술지식을 교육 |
경희대학교 | 우주과학과 | 1985 | 수학, 물리, 전산 등의 기본 교육을 토대로 별과 행성의 생성과정, 대규모 전천탐사 등의 교육 진행 |
충북대학교 | 천문우주학과 | 1987 | 우주의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기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이론 및 관측의 제반 분야 교육 |
충남대학교 | 천문우주과학과 | 1988 | 태양계 행성들로부터, 태양, 항성, 성운, 성단, 은하, 은하단, 우주배경복사 등 우주 내에 있는 천체와 현상을 교육 |
부산대학교 | 항공우주공학과 | 1989 | 항공우주 분야의 지식과 기술에 대한 확고한 기반구축과 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 교육 |
건국대학교 | 항공우주정보 시스템공학과 | 1990 | 지구 대기권과 우주를 비행하는 비행체(항공기, 발사체, 우주선, 인공위성 등)의 비행 원리, 해석, 설계와 관련된 교육 진행 |
서울대학교 | 기계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| 1991 | 기초 학문분야(공기역학, 구조역학) 또는 설계지향 분야(항공분야, 우주분야, 다른 분야와의 융합(항공 기술, 위성체 기술 등) 교육 |
전북대학교 | 항공우주공학과 | 1992 | 각종 첨단 항공기를 비롯하여 인공위성, 우주선 등의 개발 및 운용에 필요한 이론과 기술 교육 |
충남대학교 | 항공우주공학과 | 1992 | 우주 비행체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설계, 해석, 모델링 및 검증 등에 관한 방법론을 배우고 연구 |
경상대학교 |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| 1996 | 비행체 및 운용시스템의 설계, 제작과 더불어 이와 관련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관한 교육 |
세종대학교 | 기계항공우주공학부 항공우주공학전공 | 1997 | 공학 분야 전반을 포괄하는 공학 일반 영역과 연구개발 대상인 항공우주 시스템의 특성을 탐구하는 항공우주공학 고유의 영역을 교육 |
세종대학교 | 천문우주학과 | 1997 | 최첨단 우주망원경과 지상 거대망원경의 자료를 활용하여 별 탄생과 은하의 구조, 블랙홀의 신비, 우주의 가속 팽창 연구 |
울산대학교 | 항공우주공학전공 | 1998 | AI 및 첨단과학기술 관련 융복합 교육을 통한 비행체 설계, 생산, 개발 교육 |
공군사관학교 | 항공우주공학과 | 2001 | 공기역학, 구조역학, 추진 공학, 제어공학 4가지로 분류하며 궁극적으로 항공기를 다루는 항공시스템과 우주선을 다루는 우주발사체 교육 |
아주대학교 | 우주전자정보공학과 | 2002 | 물리학, 정보통신공학, 전자공학, 위성공학, 지리정보공학, 지구물리, 측량과학, 천체물리, 시스템공학, 우주과학 등 교육 |
순천대학교 | 기계우주항공공학부 우주항공공학전공 | 2006 | 일반 기계시스템에 대한 교육 기반을 마련, 설계 능력 함양을 위해 역학, 3차원 컴퓨터 응용 설계 학습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