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 지상실험 모듈 | 무게 | | | 무게는 최대 TBD kg | 일반 트레일러로 수송/설치 가능 |
2 | 외형 | 형태 | |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태 | |
3 | 크기 | | 외형은 약 12 m(L) × 2.4 m(W) × 2.4 m(H) | 3인이 함께 실험가능한 공간 |
4 | 전력 | 전력공급 | | 요구되는 전력은 최대 약 20 kW | |
5 | 외부구조/장치 | 외벽재질 | | 외부재질은 철합금 재질로 제작 | |
6 | 외벽강도 | | 전체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 | |
7 | 인터페이스 | 전력/통신 | 실내로 전력/통신 등 전기 인터페이스 장치 설치 | |
8 | 물 | 실내로 물 공급 포트 1개, 배수 포트 1개 | |
9 | 가스 | 실내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 배출 4개, 산소가스 2개 포트 설치 | 배출되는 수소 가스는 밖으로 배출 |
10 | 실내구조/장치 | 구조 | 구성 | 실험실, 제어실, 장비실로 구성 | |
11 | 크기 | 실험실은 6 m(L) 이상, 장비실 4 m(L) 이상 제작 | |
12 | 각 공간은 서로 독립된 환경(공기 조성, 온습도 등)으로 차단됨 | |
13 | 실내 벽 | 실내 벽은 단열 처리 | |
14 | 실내 벽은 1등급 난연재 재료 | |
15 | 전력장치 | 전력공급 | 메인 전원에서 각 실에 요구되는 전력 공급 가능 | |
16 | 지상실험 모듈 | 실내구조/장치 | 전력장치 | 콘센트 | 적절한 콘센트 배치 | |
17 | 조명 | 각 실 천장에 적절한 LED 배치 | 산업표준기준 준용 |
18 | 통신/데이터 | 통신장치 | 각 실 간 명령/데이터 전달을 위한 통신장치 구성 | |
19 | 무전력전화 | 제어실과 실험실 간 무전력 통신 시스템 구성 | |
20 | 가스공급 | | 장비실에서 실험실 간 가스공급/배출 및 외부배기용 포트 구성 | |
21 | 안전설비/기타 | 화재감지기 | 각 실에는 화재 감지기 설치 | |
22 | 화재진압 | 지상실험모듈에는 스프링클러 및 각 실에 소화기 설치 | |
23 | 산소마스크 | 실험실 내 안전을 위하여 산소마스크 3개 이상 설치 | |
24 | 카메라 | 실험실 및 장비실 내부 모니터링용 카메라 설치 | |
25 | 실험실 | 기밀 | 기밀 | 실험실 내부는 외부 및 다른 실과 기밀 유지 | |
26 | 압력 | 공급되는 가스에 의한 약 10% 압력 증가에 의한 기밀(압력) 유지 | |
27 | 압력유지 | 가압(1.1 atm)에서 자연 감압속도 0.05 atm/일 이하 | 외부 1기압 |
28 | 센서 | 압력 센서(2개 이상) 실험실 내 설치 및 샘플링 1 Hz | |
29 | 압력 센서 오차 1% 이내 | |
30 | 공조/온습도 | | 실험실 자체 공조 및 온습도 제어 가능 | |
31 | 가스공급 | | 장비실로부터 필요한 가스를 공급받음 | |
32 | 환경제어 | | 제어실의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내부 환경을 기본적으로 제어 | |
33 | | 긴급상황을 위한 실험실 내부 제어장치(on/off) 제공 | |
34 | 출구 | 제어실 | 제어실 연결되는 이중문 설치 | 최소한의 airlock 기능 구현 |
35 | 외부 | 실험실에서 지상실험모듈 외부로 출구문 설치 | 긴급사태 발생시 |
36 | 장비실 | 기밀 | | 실험실과 제어실과는 서로 공기적으로 분리됨 | |
37 | 지상실험 모듈 | 장비실 | 온도 제어 | | 장비실 전용 온도 제어장치 설치 및 온습도 센서 | |
38 | 제어 | | 제어실의 통합제어장치 또는 수동으로 장비를 제어함 | |
39 | 제어실 | 기밀 | | 실험실과 제어실과는 서로 공기적으로 분리됨 | |
40 | 온도 제어 | | 장비실 전용 온도 제어장치 설치 및 온습도 센서 | |
41 | 제어 | | 제어실의 통합제어 장치 또는 수동으로 장비를 제어함 | |
42 | 장비실 실험장치 (가스공급) | 산소발생 장치 | 접속 | | 산소발생장치가 장비실 내부에 전기적, 기계적 연결 | |
43 | 전기 | 산소생성 장비 | 3상 380 VAC 10 kW급의 전원 공급 | |
44 | 산소 | | 산소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산소를 유량제어기로 전달 | 산소농도 18%–24% 유지 |
45 | 안전장치 | 수소가스 배기 | 산소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소를 장비실 외부로 배기 | |
46 | 증류수생산장치 | 전력 | 증류수 생산장치에 단상 220 VAC 전원 | |
47 | 이산화탄소 | 이산화탄소 압축가스 | | 이산화탄소 압축가스 및 거치대 장비실 설치 | 압축공기가스 20,000 L(@1 atm) |
48 | 공급 인터페이스 | 기계접속 | 이산화탄소 압축 가스에서 유량 제어기로 포트 설치 | |
49 | 산소 | 산소 압축가스 | | 산소 압축가스 및 거치대 장비실 설치 | |
50 | 공급 인터페이스 | 기계접속 | 산소 압축가스에서 유량제어기로 공급포트 설치 | |
51 | 질소 | 질소 압축가스 | | 질소 압축가스 및 거치대 실험실 설치 | |
52 | 공급 인터페이스 | 기계접속 | 질소 압축가스에서 유량제어기로 공급포트 설치 | |
53 | 산소 + 질소 | 공기 압축가스 | | 공기 압축가스 및 거치대 실험실 설치 | |
54 | 공급 인터페이스 | 기계접속 | 공기 압축가스에서 유량제어기로 공급포트 설치 | |
55 | 유량제어기 | 유량제어 | | 공급되는 가스 측정용 MFM 혹은 MFC 장착 | |
56 | 유량공급 | | 공급되는 산소, 질소, 산소 + 질소, 이산화탄소의 유량 제어 실험실 내부로 공급 | |
57 | 장비실 실험장치 (가스공급) | 유량제어기 | 가스공급 | 기계접속 | 장비실에서 실험실 내부로 공급하는 가스 포트 제공 | |
58 | 연결장치 | 퀵커넥터로 연결 | 1/4 인치 퀵 커넥터 |
59 | 안전 | 유량공급 | | 설정된 값 20% 이상 공급될 경우, 알람 및 유량제어기 전원 차단 | |
60 | 실험실 | | 실험실 내부의 설정값 10% 이상 벗어날 경우, 유량공급 전원 차단 | |
61 | 센서 | 수소 | 실험실/장비실 내부 수소 농도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62 | 산소 | 실험실/장비실내부 산소 농도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63 | 공기 | 실험실/장비실 내부 공기조성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64 | 이산화탄소 | 실험실/장비실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65 | 이산화탄소 제거 장치 (실험실) | 기능 | | | 실험실은 이산화탄소 농도 최대 0.006 bar(6,000 ppm) 이하 유지 | |
66 | 성능 | 제거량 | | 3.6 kg/일 & 30일 연속 제거 가능 | 10 g/h |
67 | 운영 | 자동 | | 이산화탄소 센서 평균 분압 0.005 bar 5분 이상 유지시 자동 동작 | |
68 | 수동 | |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 가능 | |
69 | 센서 | 위치/개수 | | 실험실 내부 2곳과 스크러버 출력부에 이산화탄소 센서 설치 | |
70 | 안전 | 스크러버 | 밀폐 | 스크러버 물질 밀폐가 되어 실험실 오염이 되지 않도록 제작 | |
71 | 화학반응 | 스크러버 물질과 이산화탄소 화학반응 인체 안전성 보장 | |
72 | 알람 | 스크러버 출력부 | 스크러버 출력부 내 이산화탄소 센서 이상신호 | 이산화탄소 허용범위(0.6%) 초과 |
73 | 실험실 | 실험실 내 이산화탄소 센서 이상신호 | 이산화탄소 허용범위(0.6%) 초과 |
74 | 이산화탄소 제거 장치 (실험실) | 인터페이스 | 공조장치 | | 이산화탄소 스크러버 카트리지를 내부 공조장치 내 설치 | |
75 | 데이터 | | 이산화탄소 센서 데이터와 원격제어부 연결 | |
76 | 전기 | | 이산화탄소 센서 및 스크러버 카트리지 전원 | |
77 | 온습도 제어 (실험실) | 기능 | | | 지상실험모듈 항온항습 | |
78 | 성능 | 온도범위 | | 지상실험모듈 19℃–28℃ 내에서 ±1℃를 유지, 1℃ 단위 제어 | |
79 | 온도 제어 속도 | | 온도 증가 속도 TBD℃/h, 온도 감소 속도 TBD℃/h | |
80 | 습도범위 | | 습도 범위 40%–75% 내 유지, 1% 단위 제어 | |
81 | 습도 제어 속도 | | 습도 증가 속도 TBD %/h, 습도 감소 속도 TBD %/h | |
82 | 동작 | 쿨링 | 방법 | 냉매 냉각을 통해 열 교환식 | 냉매: 물 |
83 | 장치 | 압축기, 응축기, 증발기, 팽창밸브 등의 장치가 요구에 맞도록 사양설계 | |
84 | 제습 | | 기본적으로 쿨링 기능에 포함 또는 별도의 장치를 구성 | 사람의 호흡, 기타 활동에 습도 증가 |
85 | 히터 | | 화재 등 안전사항을 고려한 시스템 | |
86 | 센서 | 개수/위치 | | 온도/습도 센서 2개 이상 구성하고, 사용자 접근이 용이 | |
87 | 정확도/샘플링시간 | | 온도 1℃ 단위, 습도 1% 단위 표시 및 샘플링 시간 약 1 Hz | |
88 | 인터페이스 | 전력 | | 온습도 제어장치를 운영가능한 전력 공급 | |
89 | 제어명령 | | 사용자가 지상실험 모듈 내부에서 제어 가능 | |
90 | 데이터 | | 온습도 데이터 외부로 1 Hz 이상 전달 | |
91 | 냉매공급 | | 냉매(물) 공급장치 연결 | |
92 | 제습 | | 발생한 실내 수증기 배출장치 연결 | |
93 | 공기질 모니터링 (실험실) | 센서 | 수소 | | 실험실 내부 수소 농도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94 | 산소 | | 실험실 내부 산소 농도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95 | 공기 | | 실험실 내부 공기조성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96 | 휘발성 물질 | | 휘발성 물질 농도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97 | 미세먼지 | | 먼지 농도 측정 및 이상시 알람 | |
98 | 공조 (실험실) | 내부 공조기능 | | | 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공조장치 제어가 가능 | |
99 | 내부 공조 성능 | 순환 주기 | | 온습도 제어장치 및 이산환탄소 제거장치와 동기화, 사용자에 의한 운영 | |
100 | 순환 속도 | | 미정(3단계 이상 제어 가능) | |
101 | 내부공조 장치 | 펌프 | | 순환 용량에 적절한 펌프 설치 | |
102 | 팬 | | 순환 용량에 적합한 크기 설정 | |
103 | 센서 | | 유량 센서 구성 | |
104 | 공조 인터페이스 | 전력 | | 전력공급 | |
105 | 제어명령 | | 실험모듈 내부 및 외부에서 제어 | |
106 | 데이터 | | 공조 유량 데이터 모니터링 | |
107 | 원격 제어장치 (제어실) | 기능 | | | 별도의 제어실에서 장비제어, 데이터 취득, 모니터링 가능 | |
108 | 측정 | 압력 | | 실험실 내부의 압력 모니터링 및 이상(1.2 atm 이상)시 가스공급 차단 | |
109 | 밀폐 | | 실험실 가압 조건에서 밀폐환경(가압 자연감소) 모니터링 | |
110 | 공기(질소/산소) | | 실험실 내부 질소 및 산소 농도 등 공기조성 모니터링 및 공기공급 차단 | |
111 | 수소 | | 실험실 내부 수소 농도 모니터링 및 산소발생기 전원 차단 | |
112 | 이산화탄소 | | 실험실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 모니터링 및 이산화 탄소 공급 전원 차단 | |
113 | 원격 제어장치 (제어실) | 측정 | 온도 | | 실험실 내부 온도 모니터링 | |
114 | 습도 | | 실험실 내부 습도 모니터링 | |
115 | 유해물질 | | 실험실 내부 5대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모니터링 | |
116 | 먼지 | | 실험실 내부 미세먼지 모니터링 | |
117 | 장치제어 |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| 모니터링 |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가스 출력부 이산화탄소 농도 모니터링 | |
118 | 카트리지 | 스크러버 카트리지 사용량 모니터링 | |
119 | 유량 | 입력 유량 팬 제어 | |
120 | 유량제어기 | 모니터링 | 유량제어기로 입력 및 실험실로 나가는 가스의 유량 및 속도 모니터링 | |
121 | 제어 | 유량제어기로 입력 및 실험실로 나가는 가스의 유량 및 속도 제어 | |
122 | 온도제어부 | | 실험실 온도 모니터링 및 온도 설정 | |
123 | | 온도 자동 제어 및 매뉴얼 제어 가능 | |
124 | | 장비실/제어실 내부 및 특정 고온장치/장비 온도 모니터링 | |
125 | 습도제어부 | | 실험실 습도 모니터링 및 습도 설정 | |
126 | | 장비실/제어실 습도 모니터링 | |
127 | | 습도 자동 제어 및 매뉴얼 제어 가능 | |
128 | 내부공조 장치 | | 내부공조 유량 3단계 이상 제어 | |
129 | 기타 | | 내부 조명, 전력, 마이크/스피커, 카메라 등 제어 | |
130 | 안전 | 카메라 | 실험실 및 장비실 내부 모니터링 카메라 영상 표시 | |
131 | 알람기능 | 이상동작 발생시, 알람 기능(LED & 소리) | |